2018년 들어 1년 차 회사원들에게 희소식이 될 연차휴가에 관련한 법 조항이 개정되었습니다. 작년후반기에 취직한 직장인들이라면 모두 해당하기 때문에
반드시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모르면 본인만 손해날 수 있어요. 적용되는 첫해가 올해라서 회사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 개정된 연차휴가 계산법
▣ 개정된 사항에 해당 사항이 없는 직장인
연차휴가의 기본정의
◐ 기본 연차휴가 : 만1년의 근로일 중 8할 이상 출근하였을 경우에는 15일의 연차가 발생
◐ 가산 연차휴가 : 입사후 3년차에 1일추가되어 16일연차 발생 . 근속2년당 1일씩 계속추가되고 최대 25일까지
개정 전에는 입사 후 2년 동안 총 15일의 연차휴가를 줬는데 개정 후에는 1년 차에 최대 11일. 2년 차에 15일 해서 총 26을 보장하는 내용입니다
이해 안 될 거라 보고요 예를 들어 설명드립니다
▣ 입사일 기준 2018년 개정법 적용예
◐ 입사후 1년차인 직장인 경우
▶질문1: 김연차씨는 2017년 6월1일 입사해서 현재 2018년 5월 28일 기준 사용가능한 연차갯수는?
▶답변: 입사날짜가 2018년 5/30일 기준으로 만1년이 안되지요? 적용대상입니다
즉 2017년 7월,8월,9월,10월,11월, 12월/1일 =6개 발생
2018년 1월, 2월, 3월 4월 5월1일 =5개 발생
총 11개 연차휴가를 발생일 기준으로 1년간 사용가능합니다 (1년지나면 연차수당으로 받을수 있지요)
◐ 입사후 2년차인 직장인 경우
▶질문2: 김연차씨는 2017년 6월1일 입사해서 2018년 6월 1일 기준 사용가능한 연차갯수는?
▶답변: 입사날짜가 2018년 5/30일 기준으로 만1년이 되었습니다 적용대상입니다
즉 2017년 7월,8월,9월,10월,11월, 12월/1일 =6개 발생
2018년 1월, 2월, 3월 4월 5월1일 =5개 발생
2018년 6/1일자로 =15개 발생
총 26개 연차휴가를 발생일 기준으로 1년간 사용가능합니다 (1년지나면 연차수당으로 받을수 있지요)
▣ 2018년 육아휴직복직자 연차휴가
기존에는 육아로 휴직했다가 복직하게 되면 휴직기간을 출근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년 80%의 근속출근에 해당되지 않아
연차휴가를 받을수가 없었는데요 올해부터는 연차 유급휴가일수 산정시에 육아휴직 기간을 출근한 것으로 인정됩니다
물론 입사신입 1년차 직장인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 2018년 개정법 적용 제외자의 예
그러면 2017년 5월 29일 이전에 입사한 직장인은 시행일 2018년 5월 29일 자에 이미 만 1년을 넘겨서 2년 차에 들어갔기 때문에 그냥 15개에서 자기가 쓴 연차만큼
빼고 남은 게 사용 가능한 연차수가 됩니다. 즉 개정된 연차휴가 계산법에 적용이 되지 않아요
'유용한 생활정보 > 근로자혜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바뀌는 근로시간에 따른 휴일수당 나만 모르나 (0) | 2018.04.30 |
---|---|
2018 바뀐 연장수당과 야간수당이 겹치는 시간은 어떻게 계산될까? (0) | 2018.04.28 |
2018 연차수당 이런 경우 한 푼도 못받을 수 있습니다 (2) | 2018.03.04 |
알바비 계산시에 주휴수당 못받는 경우 총정리 (0) | 2018.02.19 |
실업급여를 받지 못하는 상황 총정리 (2) | 2018.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