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구 인생 10년차/통관(3)
-
해외직구 전파인증에 대한 오해 총정리
전파인증에 대한 오해와 카더라 썰이 인터넷에 난무하는데 해외직구를 자주 하는 사람들한테는 여간 신경 쓰이는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그래서 제가 카더라 썰들을 좀 모아봤습니다. 이 주제를 다루는 이유는 생산자와 제조사 유통사에서는 사실상 별 고민이 아닙니다 정상적인 절차대로 인증받아서 처리하면 그만이거든요 문제는 소비자로서 해외에서 전자제품을 구매할 때 이 법 적용이 된다 안된다로 썰들이 난무하기 때문이지요. 제가 경험한 내용 포함해서 전파인증에 대한 결론을 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조사 유통사 아니라 개인입장에서 해외직구 전파인증(KC인증)을 알아볼게요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여러가지 사례나 질문 중에 오해의 소지가 있는 몇 가지 사항들을 짚고 넘어갈게요 ◐전파인증 즉 적합성평가(kc인증)를 하는 목적이 뭔..
2018.01.21 -
목록통관 ,일반통관 구분법 관세, 부가세는 어떻게 납부하는가?
해외구매를 하다 보면 목록통관, 일반통관이라는 말을 반드시 듣게 됩니다. 대충은 알겠는데 정확히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봐야지요 이 부분은 같은 제품을 사고도 세금을 내느냐 안 내느냐가 결정되기 때문에 명확하게 알고 있어야 하는 부분입니다 구매하는 제품을 목록과 일반으로 나누는 기준은 없습니다. 그냥 관세청에서 정하면 일반인들은 내가 살 품목이 어디에 속하는지만 알면 됩니다 Why ? 목록통관인지 일반통관인지 알아야 하는가직구족들이 알 필요가 있는 정보만 적겠습니다. 미국과 미국 외 국가는 관, 부가세 적용되는 금액이 다릅니다. 같은 제품이라도 우리가 어디서 구매하느냐에 따라 세금을 낼 수도 있고 안 낼 수도 있다는 말이지요. 아래 제시된 금액은 해당 쇼핑몰에서 최종결재한 금액(달러) 기준입니다 보통 장..
2017.12.04 -
통관시에 관부가세 안내는 방법
관부가세를 안낼수 있는 방법은 첫째 : 면제구간 금액까지만 한번에 주문해서 통관한다둘째 : 면제구간이 넘을경우 통관을 2번 나눠서 한다 해외직구로 들여오는 모든 제품은 FTA 협정에 의거 금액에 따라 국가별 관부가세 면제구간이 있습니다2017년 11월 현재 적용되고 있는 조항입니다. 목록통관, 일반통관으로 제품종류별로 금액이 다르기 때문에 구매한 제품이 목록제품인지 일반인지 구분해서 금액을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목록통관제품과 일반제품이 섞이게 되면 일반으로 취급합니다 목록통관제품을 면제구간 안에서 구매하기 미국쇼핑몰에서 총 결재금액(자체배송비포함)이 200달러 미만 미국을 제외한 타국가 (유럽 및 일본 ,중국)는 150달러 미만 (유로,파운드는 달러로 환산해서 계산하기)Amazon 쇼핑도 각 국가별로 적..
2017.11.06